구분 | 평가대상시설(개소수) | 계 | 시행 기관 |
||
---|---|---|---|---|---|
기수별 지표 개발 방향 | 연도 | ||||
계 | 12,446 | ||||
1기 | 개별시설 평가지표 개발 | ‘99 | 장애인복지관(36), 정신요양시설(59) | 95 | 보건 사회 연구원 |
‘00 | 아동복지시설(28), 노인요양시설(60), 여성생활시설(61), 정신지체생활시설(52), 노숙인(부랑인)시설(33), 사회복지관(285) |
519 | |||
‘01 | 노인양로시설(79), 아동복지시설(243), 장애인복지시설(130) |
452 | |||
2기 | 1기 평가 시 개발 못한 일부 평가지표 추가개발 | ‘02 | 정신요양시설(55), 노숙인(부랑인)시설(33), 장애인복지관(56) |
144 | |
‘03 | 노인복지시설(261), 모자복지시설(56), 사회복지관(334) |
651 | |||
‘04 | 아동복지시설(261), 장애인생활시설(199) | 460 | 한국 사회 복지 협의회 |
||
3기 | 사회복지 현장을 반영한 평가지표 완성도 제고 및 영역별 지표 확대 개발 | ‘05 | 정신요양시설(55), 사회복귀시설(74), 노숙인(부랑인)복지시설(37), 장애인복지관(83) |
249 | |
‘06 | 사회복지관(351), 노인생활시설(224), 노인복지회관(74) 모·부자복지시설(75) |
724 | |||
‘07 | 아동복지시설(260), 장애인생활시설(231) | 491 | |||
4기 | 이용자·생활인의 인권지표 강화 및 사회복지시설 서비스 최소 기준안 반영 | ‘08 | 정신요양시설(55), 사회복귀시설(113), 노숙인(부랑인)복지시설, 장애인복지관(119) |
323 | |
‘09 | 사회복지관(295), 노인생활시설(62), 노인복지회관(139), 모·부자복지시설(80) |
576 | |||
‘10 | 아동복지시설(266), 장애인생활시설(292), 공동생활가정(330) |
888 | |||
5기 | 전체 공통지표, 생활시설 공통지표, 이용시설 공통지표 구분 개발 | ‘11 | 정신요양시설(59), 사회복귀시설(163), 노숙인(부랑인)복지시설, 장애인복지관(152) |
411 | |
‘12 | 노인복지관(190), 양로시설(63), 사회복지관(412), 한부모가족복지시설(100) |
765 | |||
‘13 | 아동복지시설(275), 장애인거주시설(372), 장애인직업재활시설(367) |
1,014 | |||
6기 | 평가지표 간소화, 현장의 평가부담 완화, 평가의 실효성 제고 중심으로 보완 및 개선 | ‘14 | 정신요양시설(59), 사회복귀시설(220), 노숙인복지시설(37), 장애인복지관(182) |
498 | |
‘15 | 노인복지관(248), 양로시설(66), 사회복지관(429), 한부모가족복지시설(96) |
839 | |||
‘16 | 아동복지시설(286), 장애인거주시설(447), 장애인단기거주시설(116), 장애인공동생활가정(571), 장애인직업재활시설(461) |
1,881 | |||
7기 | 공통지표 축소, 이용자 중심, 소규모 시설 평가지표 개발 | ‘17 | 정신요양시설(59), 사회복귀시설(285), 노숙인복지시설(113), 장애인복지관(203) |
660 | 사회 보장 정보원 |
‘18 | 노인복지관(246), 양로시설(105), 사회복지관(341), 한부모가족복지시설(114) |
806 | |||
‘19 | 아동생활시설, 장애인거주시설, 장애인단기거주시설,장애인직업재활시설 |
- |